총론 해설 (해설서)
누리과정은 성격, 총론과 영역별 목표 및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성격'은 개정 누리과정이 [국가 수준 공통교육과정] 임을 명시한 것이다.
총론- 누리과정 구성방향(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 구성의 중점), 누리과정 운영(편성·운영, 교수·학습, 평가) 영역별 내용 및 목표-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 각 목표 5개와 59개 내용... 개정 전 369개의 내용이 있었다는.... 왜 줄었는지는 다들 아셔야겠지요? 전편에 나와 있습니다.)
누리과정은 아이들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향해 성장해 갈 수 있도록 돕는 내용입니다. 아이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놀이를 통해 배우도록 돕는 교사가 됩시다.
1. 누리과정의 성격
총론보다 앞서 '성격'을 먼저 제시한 만큼 중요한 부분으로써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를 확립하는 출발점으로
★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 지옥의 고시문 외우기 시작~~)
[누리과정은 3~5세 유아를 위한 국가 수준의 공통교육과정이다.]
; 누리과정을 운영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공통적인 기준을 국가가 고시한 것이며 이 기준에 따라 차별 없이 양질의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가. 국가 수준의 공통성과 지역, 기관및 개인 수준의 다양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 '국가 수준'의 공통성은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기준을 의미하고 '지역 수준'의 다양성은 그 지역의 상황과 여건을 고려하여 특색 있게 운영하는 것을 말하며 '기관 수준'의 다양성은 기관의 철학, 학부모 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말하고 '개인 수준'의 다양성은 유아의 연령 및 개별 특성, 발달 수준 등을 고려하여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을 추구한다.
- 전인적(정의: 인간의 세 가지 심적(心的) 요소인 지성, 감정, 의지를 균형 있게 갖추어 원만한 인격을 지닌 사람의 것.-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감사해요.) 으로 발달한다는 것은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주적이고, 창의적이며, 감성이 풍부하고 더불어 사는 사람으로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는 놀이할 때 행복하므로 즐겁게 놀이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해야 한다.
다. 유아 중심과 놀이 중심을 추구한다.
- 놀이를 통한 배움의 가치를 존중하여 반영한다. 유아는 자신의 적합한 방식으로 놀이하는 과정 속에서 에서 자연스럽게 배우므로 유아 주도적인 놀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라.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을 추구한다. (성만 쓰면 안 되고 '신장' 단어 꼭 쓰기 난 맨날 까먹음)
- 유아는 선택과 결정에 대해 책임지는 경험을 하면서 자율성을 기르고 주변의 호기심을 가지고 탐색하고 탐구하며 상상을 해나간다. 그 속에서 놀이를 변형하고 창조하면서 창의성을 기르게 되는데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유아를 격려하고 생각을 표현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마. 유아, 교사, 원장(감), 학부모 및 지역사회가 함께 실현가 하는 것을 추구한다.
교사, 원장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를 지원하는 교육과정 주체이다. 학부모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부모는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의미를 이해하고 놀이할 수 있도록 기관과 협력하고 지원해야 한다. 기관은 지역사회 기관, 단체와 협력하여 인적, 환경적, 문화적 자원을 통해 유아가 풍부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논술에서도 그렇고 지역사회의 풍부한 자원= 유아의 경험을 풍부하게 한다. 이 문장 기본으로 외우고 있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