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과정 해설서

누리과정 운영 (1.편성·운영)

뉴운영자 2023. 4. 15. 10:51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공통적 기준

다음 사항에 따라 누리과정을 편성·운영한다.

가. 1일 4~5시간을 기준으로 편성한다.

 (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시간, 행정적·재정적 지원하는 시간)

나. 일과 운영에 따라 확장하여 편성할 수 있다.

 (기관의 실정, 지역적 특성, 운영시간 이후 확장 등 융통성 있게 편성·운영한다.

다.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각 기관의 실정에 적합한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한다.

 (교사와 기관의 자율성-> 계획안 수립 과정(지원 필요사항 모든 과정, 주도하는 놀이로써 계획 최소화)

라. 하루 일과에서 바깥 놀이를 포함하여 유아의 놀이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편성하여 운영한다.

 (융통성:놀이,일상생활,활동)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의 흐름에 따라... 2시간 이상 긴 시간으로 편성 이유: 놀이의 흐름 끊기지 않고 몰입할 수 있도록

마. 신체적 특성, 장애, 종교, 가족 및 문화적 배경 등으로 인한 차별이 없도록 편성하여 운영한다.

 (상대를 틀린 것이 아닌 다른 특성으로 받아들이고 편견 없이 대할 수 있도록 지원)

바. 유아의 발달과 장애 정도에 따라 조정하여 운영한다.

 (장애만 해당x=> 모든 유아가 보편적인 환경에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 조정하여 운영한다.)

사. 가정과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참여에 기반하여 운영한다.

 (부모는 놀 권리, 놀이가치 이해하며 지원해야 한다. 기관은 부모참여, 간담회, 워크숍, 상담 등 지원한다.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기관을 경험하며 지역사회에 관심 갖도록 지원한다.

아. 교사 연수를 통해 누리과정의 운영이 개선되도록 한다.

  (누리과정 실천과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 국가 및 지역 기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연수를 마련, 참여기회를 제공한다.(배움 공동체, 소모음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