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개론

발달이론 <성숙주의>

뉴운영자 2023. 1. 20. 00:49

발달의 주요 이론에는 성숙주의의  '정신분석이론',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행동주의(=학습이론)의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인지발달이론), 사회문화적 이론(=사회적 구성주의이론)이 있다.

  성숙이론을 먼저 다루고자 한다.

유기체 내부에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발달 속도에 맞춰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성숙이론은 게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기에 게젤의 성숙이론이라 불린다.

 

 [주요개념] 

 성숙: 유기체의 발달과정을 방향 짓는 유전적 기제 (이는 정해진 순서가 있다.)

 성장모형: 유전자가 유기체의 형태와 방향을 결정한 성장모형에 따라 성장이 이루어진다.

**표준행동목록: 성장과 발달을 연령별로 제시한 행동목록(연령 별 비교가 가능한 발달을 평가하는 규준)

***학습준비도:  영유아가 성숙되기를 기다린 후 (자연스럽게 성장) 받아들일 준비가 나타날 때 무언가를 가르쳐야 한다.

 

 게젤의 발달 원리(5)

1) 발달방향의 원리: 발달은 일정한 방향,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발달의 원리;순차성의 원리)

2) 상호적 교류의 원리: 신체의 대칭되는 두 부분이 서로 한 부분씩 발달한 다음, 함께 통합되어 균형적으로 발달해 가는 것

3)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 상호교류과정을 통해 균형을 이루게 되지만 어느 정도의 비대칭이 오히려 실제로 기능적이라는 것이다.

4) 자기조절의 원리:  자신의 발달을 자신의 수준에 맞도록 성장을 조절하고 규제할 수 있다.

5) 개별성의 원리: 유전기제에 의한 성장속도에는 개인차가 있다.

 

tmi 아놀드 게젤 미국의 아동심리학자 "감사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To be continued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