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개론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뉴운영자 2023. 2. 10. 21:10
 사회문화적 이론 기본관점

  "사화적 맥락에서 경험하는 사고의 변화가 인지발달을 촉진시키며 교육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주요개념>

 (1) 근접발달지대 -  현재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과 도움을 받아 수행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사이의 거리

"내가 해낼 수 있든 누구의 도움으로 해낼 수 있든 어쨌든 해낼 수 있는 차이, 거리"

근접발달지대4단계

1. 유능한 성인이나 또래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지는 수행단계 [타인조절- 개인간 단계]

  타인이 수행을 지원해준다. 지시, 모델링, 모방과 같은 전략사용 (예: "나처럼 이렇게 돌리면 어떤 모양이 나오겠니?")

2. 자기 자신에 의해 도움받는 수행단계 [자기조절]

 스스로 수행한다. 자기조절을 하게 되는데 혼잣말로 이루어진다.(예: '이거 먼저 옮기고 바꿔볼까?')

3. 내면화단계 [개인 내 단계]

 수행이 발달 되고 자기조절이 사라지면서 과제수행이 원할해진다. 

4단계. 근접발달영역으로 회귀하여 탈자동화되는 수행단계

 앞단계 다시 반복


(2) 비계설정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성인이나 유능한 또래의 도움

 Q. 어떤 과제여야 수행할 수 있을까? A.실제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과제

비계설정의 목표

 1. 자신의 근접발달영역내에서의 과제해결하는 것 - 학습자에게 약간 높은 과제를 제시하여 해결할 수 있는 도전적인 수준이 되도록 한다.

2. 자기조절을 증진시키는 것 - 타인의 도움으로 과제를 수행하였지만 점차적으로 도움을 줄여 나가면서 과제에 대한 책임을 학습자에게 갖도록 하여 학습자의 자기조절 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