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론해설 (누리과정 구성방향2)
추구하는 인간상, 목표, 5개 영역과의 연계성
인간상, 목적과 목표... 추상적? 미래 모습? no... 현재 경험을 통해 미래로 성장하는 점에서 현재 경험은 중요하다.
누리과정의 목표는 5개 영역의 목표와 일대일 대응관계가 아니며, 59개의 내용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구성의 중점
주요하게 고려한 점
가. 3~5세 모든 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모든 유아는 연령, 발달, 장애, 종교 등으로 인하여 차별받지 않고 배제되지 않으며 아울러 관심사, 능력, 발달적 요구에 차이를 존중하여 구성한다.
나. 추구하는 인간상 구현을 위한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를 반영하여 구성한다.
지식,기능,태도및 가치는 유아가 놀이하며 배우는 경험과 연계하여 제시하였다. 교사는 자연스럽게 경험하며 성장해 가도록 지원해야 한다.
다.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5개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5개 영역을 분절하여 이해하거나 특정 교과 또는 연령별로 가르쳐야 하는 내용으로 이해하지 않아야 한다. 놀이를 할 때 영역의 내용이 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통합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라. 3~5세 유아가 경험해야 할 내용으로 구성한다.
유아가 생활하며 직접 체험하므로 교육과정의 실제라 할 수 있다. 유아의 경험 대부분은 놀이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실제 놀이를 통해 배우는 내용을 존중하고 지원해 가도록 한다.
마. 0~2세 보육과정 및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경험이 분절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구성하였다. 추구하는 인간상과 목적과 목표 등에서는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형식은 통일하였지만 유아기 고유한 특성이 드러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경험이 단절되지 않도록 구성하되 5개 영역의 내용은 초등학교 교육내용을 상회(웃돌게) 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