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개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 이론의 기본관점

학습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일어난다.

[학습의 주요 기제]

1) 모델링: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그 행동을 학습하는 것

2) 강화: 타인이 보상이나 벌을 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강화가 되어)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

@  대리강화 - 모델이 하는 행동과 그에 따른 결과를 보고 자신의 행동도 그러할 것이라고 기대함으로써 강화를 받는 것.

@ 자기 강화 - (직접강화, 대리강화를 통해 구성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준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강화하는 것

 

[[관찰학습 4가지 과정]]

주의집중 과정: 모델이 관찰자와 얼마나 비슷한지, 매력적인지 선호하는지 등에 따라 행동에 주의를 기울인다.

파지 과정: 모델의 행동을 상징적인 형태(부호화)로 기억한다.

운동재생 과정: 직접 수행하며 이전의 관찰했던 것과 비교해 가며 연습하는 과정이다.

동기화 과정: 학습의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데 행동을 유발하는 강화요인이 필요하다.

자기 효능감 : 특정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

 요소: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정서적 상태

 

=> (그 외 이론) 상호결정론

 반두라는 아동발달이 개인(인지적 능력, 신체적 특성 등) /행동(언어반응, 운동반응 등) /환경(물리적 환경, 가족 및 친구 등)의 요소가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 개인피셜, 행동주의이론가라기보다는.... 상호결정주의..... 인가...

 

                                                                                    To be continued...  오늘날 더 추구하는 구성주의(인지발달이론)